생성형 AI 관련 주요 이슈 및 정책적 시시점

2023. 4. 28. 18:30경제

반응형

생성형 AI 관련 주요 이슈 및 정책점 시사점

1.검토배경

세계 빅테크 기업에서 초거대 생성형 AI 서버스인 ChatGPT가 출시되면서 최근 전 세계적인 화두로 등장

● ChatGPT *는 OpenAI에서 개발한 GPT-3.5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인공지능임

* ’22년 11월 3.5버전을 발표하였으며, 단 4개월만에 GPT 4.0 공개(’23.3.)로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

※ GPT(Generative Pre-trained Transformer)-3(’20.6.)는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 셋을 사용하여 머신러닝을 통해 문맥의 의미를 이해한 사전학습 후, 특정한 태스크에 대해 파인튜닝을 수행하는 자연어 이해 및 생성능력을 갖춘 인공지능 모델로 기존 버전에 비해 큰 주목을 받음

 

● ChatGPT로 촉발된 언어모델 기반 서비스의 가능성이 가시화됨에 따라 빅테크 기업들은 대규모 언어모델1)과 생성형 AI 챗봇 서비스 출시 계획을 발표

 

● 국내 대기업에서도 한국어 기반의 초거대 언어모델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, 다수의 스타트업 들에서도 다양한 AI 서비스를 제공 중

KISTEP 자료

2. 생성형 AI 관련 주요 이슈

(산업적 영향) 업무 효율화를 극대화하고 신규 창작물을 빠른 속도로 생성하면서 산업생태계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거승로 예상

●  콘텐츠 산업, IT 산업, 제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응용이 가능

KISTEP 자료

●  기술연구전문 데이브레이크인사이츠가 생성형 AI 업계를 조사한 결과, 최소 700개 이상의 기업이 경쟁 중으로 시장선점을 위한 기업경쟁 심화

※ (1)텍스트 요약 (2)감정 분석 (3)텍스트 번역(이상 텍스트 분석) (4)가상 비서 (5)챗봇 구축 플랫폼 (6)챗봇 프레임 워크 및 NLP 엔진(이상 대화형 AI) (7)글쓰기 도구 (8)코드 생성 (9)검색 (10)언어 모델 등 10개 카테고리로 분류

KISTEP 자료

●  글로벌시장조사기관인 CB insights가 발표(’23.2.)한 생성형 AI 관련 글로벌 스타트업 250개 중 한국기업은 3개에 불과, 미국기업이 다수 차지

※ 미국 126개, 인도/영국 14개, 이스라엘 12개, 캐나다 10개, 프랑스 6개, 중국/호주/일본 5개, 네덜란드/스페인 4개, 한국 3개로 13위를 차지 * 시각미디어 분야의 딥브레인AI, 디오비스튜디오, 클레온 등

 

□ (기술적 역량) 우리나라의 생성형 AI 관련 기술적 역량은 압도적 선두국가인 미국, 중국과의 격차가 크게 벌어진 상황

 

●  최근 5년간 생성형 AI 분야에서 발표된 논문을 분석한 결과, 우리나라의 전체 논문 수는 총 2,682건으로 전체 5위를 차지

※ 중국 19,318건(1위), 미국 11,624건(2위), 인도 4,058건(3위), 영국 3,484건(4위)

 

●  피인용 상위 1% 논문은 총 70건으로 조사대상국 중 7위 수준4)으로 1위(미국), 2위(중국)와 격차가 큰 편 ※ 미국 691건(1위), 중국 565건(2위), 영국 144건(3위), 독일 107건(4위), 호주 93건(5위)

 

● 세부 기술분류별 *로 살펴보면, 우리나라는 이미지 생성형 AI 분야의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되었고 다음으로 자연어처리(NLP), 비디오의 순

* 자연어처리(NLP), 음성, 이미지, 비디오, 신약개발 등 5개 세부 기술로 분류

- 인용수 대비 상위 1% 논문은 이미지 생성형 AI 분야에 집중, 자연어 처리(NLP) 분야의 경우 전체 논문수에 비해 인용수 대비 상위 1% 논문 비중이 저조한 편

- 미국은 자연어처리(NLP) 생성형 AI분야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며, 중국은 이미지 생성형 AI 분야의 논문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남

KISTEP 자료

□ (해결과제) 생성형 AI 활용과정에서 법적・윤리적 측면의 해결해야 할 과제가 존재

● 허위정보, 저작권, 논문 표절,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, 답변의 윤리 이슈, 부정행위, 학습능력 및 창의성 저하 등 예기치 않은 위험 이슈가 존재

 

● 일부 개발자 및 기업 영향력이 집중되면서 인간의 편견이 시스템에 반영되거나 이를 활용하는 방식에 따라 국가안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 존재

 

● 주요국에서는 적극적으로 규제조치를 시행하였고, 국제학술지 네이처, 사이언스에서도 ChatGPT를 논문 저자로 인정하지 않는 가이드라인을 제시(’23.1.)

※ (미국)연방거래위원회는 AI테크 기업 조사 착수, 국가통신정보국(NTIA)은 AI 모델 출시 전 위험성 확인인증에 대한 규제사전검토 시작(4월), (이탈리아)데이터 보호청은 국가 차원에서 자국 내 접속을 차단(3월), (영국)AI 산업 및 규제 가이드라인이 포함된 AI 백서 발간(2월)

3. 시사점

□ 초거대 AI는 산업의 지형을 완전히 바꿀 파괴적 혁신으로 전망되므로 우리나라 초거대 AI산업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 강화 필요

● 정부에서는 인공지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추진 * 및 생성형 AI에 관한 R&D사업을 추진 중

* 인공지능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(과기정통부, ’23.1.)을 통해 인공지능 10대 핵심프로젝트 추진(’23년 약 7,129억원 투입) 중

※ ‘한국어 대형 언어모델 개발사업’을 통해 10억개 수준의 매개변수를 가진 트랜스포머를 개발하고 있으며, ’23년도에 3억개 수준의 매개변수를 가진 한국어 언어모델 공개 예정

KISTEP 자료

● 민간과 협업하여 혁신적 기술의 발전 속도에 발맞추어 이머징 기술을 선제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체계 및 기초・원천연구 강화

 

● AI 분야의 R&D 투자 현황 및 부처별 전략・계획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기술공백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 및 투자필요영역 발굴

 

□ 우리의 AI 기술적 역량은 선도국과 격차가 큰 상황으로 AI 경쟁력 고도화를 위해 요구되는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 필요

●  AI 기술 초격차를 위한 생성형 AI 기술개발 우수인력 확보 및 양성 강화

 

● 생성형 AI 관련 데이터 구축・개방, 컴퓨팅 파워 및 자원 제공, 윤리 및 신뢰성 확보 등 산업생태계 기반조성

 

●  AI 관련 원천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한 산학연 협력 및 딥테크 창업기업 지원을 강화할 필요

 

□ 생성형 AI에 대한 진흥을 강화하는 한편, 장단기적으로 미래 위험 요인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조치를 검토할 필요

●  AI 튜터 도입, 딥페이크 등 잘못된 정보에 따른 미디어보호 등을 통해 AI의 전반적 활용을 강화

 

● 새로운 기능 도입에 따른 출시 전 테스트 강화, 국가 안보 위험성 사전 검토 등을 통해 생성형 AI의 안전성을 국가 차원에서 보장


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