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. 5. 1. 11:58ㆍ경제
안녕하세요 가위블입니다. 한국수츨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이 작성한 2023년 1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2분기 전망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.
2023년 1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2분기 전망
요약
Ⅰ. 2023년 1분기 수출실적 평가
1분기 수출 전년동기 대비 12.6%, 전기 대비로는 4.8% 감소
● 2023년 1분기 수출액은 전년동기(1,734억 달러) 대비 12.6%, 전분기(1,592억 달러) 대비로는 4.8% 감소한 1,515억 달러 ● 글로벌 경기둔화, 반도체 업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0월 이후 6개월 연속 전년동기 대비 감소 기록
● 품목별로는 반도체, 석유화학, 일반기계 등이, 지역별로는 중국, 일본, 아세안 등이 감소
1분기 수출업황 평가지수는 전기 대비 3p 하락한 88
● 높은 생산원가 영향으로 수출채산성이 하락하고, 수출물량 평가도 하락해 전반적인 수출업황 하락 - 수출업황 평가지수가 90 이하로 떨어진 것은 코로나19 영향이 컸던 ‘20년 2분기 이후 처음
Ⅱ. 2023년 2분기 수출 전망
2분기 수출선행지수는 전년동기 대비 4.8p, 전기 대비 2.1p 하락
● ’23년 2분기 수출선행지수는 121.7로 전년동기 대비로는 4.8p, 전기 대비로는 2.1p 하락
● 수출선행지수가 2분기 연속 전년동기 대비 하락하고, 전기 대비로도 3분기 연속 하락함에 따라 수출 경기 둔화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
D램 가격 하락으로 수출물가 하락세, 신규 주문 감소 등 경기 위축 신호 증가
● 수출대상국 경기 : 미국, 유로존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성장률 둔화가 이어지고 있으며 1월부터 리오프닝을 시작한 중국은 경기 회복세가 아직 미진한 상황
※ 수출대상국 경기지수 증감률(%, 전년동기대비) : 1.7(‘22.2Q)→1.6(3Q)→1.9(4Q)→1.2(’23.1Q)
‑ ISM 제조업 신규주문지수*는 전분기 대비 2.6p 하락한 44.6을 기록하면서 기준선(50)을 하회, 6분기 연속 전기 대비 하락하며 경기 위축 가능성 심화
※ ISM 제조업 신규주문지수(분기) : 57.8(’22.1Q)→52.6(2Q)→48.8(3Q)→47.2(4Q)→44.6(‘23.1Q)
‑ 수출용 수입액 지수는 ’23년 1분기에 원유·원자재 가격이 내림세로 돌아서면서 2021년 1분기 이후 8분기만에 전년동기 대비 –3.8% 하락했으나, 전기 대비로는 0.4% 상승
● 가격 경쟁력 : 2023년 1분기 환율은 달러당 1,276원으로 전 분기인 2022년 4분기 달러당 1,359 원보다는 6.1% 하락했으나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가격 경쟁력은 여전히 높은 상황
‑ 경기침체 우려가 확대됨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 기조는 완화될 것이란 기대는 커졌으나, 국내 금리와의 차이 등으로 원화가치는 당분간 낮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
● 수출물가 : D램·낸드플래시 재고 증가 등으로 반도체 단가 하락세가 당분간 유지되고 석유화학 공급과잉 등도 지속됨에 따라 수출물가 하락세는 이어질 전망
※ 수출물가 (2015=100, 달러기준) : 110.6(‘21.4Q)→112.6(’22.1Q)→117.1(2Q)→109.4(3Q)→104.1(4Q)
‑ D램은 글로벌 경기 위축 및 재고 확대로 삼성전자, 하이닉스 등 주요 제조업체들이 감산을 단행하고 있어 하반기 이후 재고량은 줄어들겠으나 연말까지 가격 하락세는 지속될 전망
※ D램 가격 전망($, DDR4_8Gb 고정가격, Omdia) : 3.40(‘22.2Q)→1.90(‘23.1Q)→1.75(2Q)→1.70(3Q)→1.60(4Q)
‑ 유가는 OPEC+ 등 주요 산유국들이 원유 감산을 결정하고 중국 리오프닝으로 원유 수요가 다시 증가되면서 유가는 전기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
※ 유가(Dubai, $/bl, 기간평균) : 83.5(’22.1)→113.3(6)→77.2(12)→80.4(‘23.1)→82.1(2)→78.5(3)
● 주요 산업 : 글로벌 경기 하향으로 IT정보기기 및 석유제품 수요가 둔화되고, 석유화학 중국 자급률도 제고되는 등 부정적 수출 여건이 이어짐에 따라 주요 품목 수출 감소세 지속 전망
‑ 자동차는 지난해부터 누적되어 온 대기 수요 이연, 친환경차 판매 호조 등으로 수출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
2023년 2분기 수출액, 전년동기 대비 12~13% 감소 전망
● 수출선행지수의 전년동기 대비 하락이 지속되고 있고, 주요국 경기 둔화로 인한 신규주문 감소, 수출물가 하락 등이 이어져 2023년 2분기 수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2~13% 감소한1,550억 달러 내외 수준 전망
‑ 2분기부터 중국 리오프닝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수출액은 전기(1.515억 달러)보다는 증가하겠으나, 역대 최대치였던 2022년 2분기 기저효과로 감소율은 두자릿 수를 유지할 전망
※ 분기별 수출액 (억달러) : (‘22.1Q) 1,734→(2Q) 1,771→(3Q) 1,740→(4Q) 1,592→(’23.1Q) 1,515
※ 분기별 수출액 증감율 (%, 전년동기대비) :(‘22.1Q) 18.4→(2Q) 13.0→(3Q) 5.8→(4Q) △9.9→(’23.1Q) △12.6
● 다만, 세계적인 경기 침체 우려가 높아지면서 중국 내 투자 등이 부진할 경우 수출 감소폭은더 확대될 수 있음.
Ⅲ. 수출기업 애로사항
‘원화환율 불안정’(44.9%), ’원재료 가격 상승‘(43.3%) 순 응답
● 환율 변동성 확대로 ‘원화환율 불안정’(51.3%→44.9%) 응답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, ‘원재료 가격 상승’(38.5%→43.3%) 응답률도 전기 대비 상승하면서 두 번째로 높은 비중 차지
●‘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’(17.0%→27.6%)의 응답률이 크게 증가한 반면, ‘중국 등 개도국의 저가 공세’(22.4%→21.7%), ‘글로벌 공급망 불안정’(14.6%→4.5%) 응답률은 감소
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차 배터리 핵심광물(제4장 정책동향) (0) | 2023.05.08 |
---|---|
전기차 배터리 핵심광물(제3장 기술동향) (0) | 2023.05.04 |
전기차 배터리 핵심광물(제2장 공급망 동향) (0) | 2023.05.03 |
전기차 배터리 핵심광물 자료(제1장 개요) (0) | 2023.05.02 |
생성형 AI 관련 주요 이슈 및 정책적 시시점 (0) | 2023.04.28 |